
25일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한 강 작가를 비롯해 414명의 시·소설·평론·아동청소년·극작·만화 부분 등의 작가들이 ‘윤석열의 즉각적 파면’을 촉구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한강 작가는 “훼손되지 말아야 할 생명, 자유, 평화의 가치를 믿습니다. 파면은 보편적 가치를 지키는 일입니다.”라고 말했다.
작가들은 "피소추인 윤석열의 대통령직 파면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가 이유 없이 지연되고 있다. 2024년 12월 3일 불법 비상계엄 이후 100일이 넘는 동안 시민의 일상은 무너지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위기를 맞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피소추인 윤석열의 대통령직 파면은 당연한 일이다. 더는 지체되어서는 안 되며 파면 외 다른 결정은 있을 수 없고, 있어서도 안 된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공동 성명 말고도 각자가 저마다 한 줄 성명을 발표했는데, 1970년대 말 계엄의 만행을 몸소 경험한 김혜순 시인은 “우리가 전 세계인에게 더 이상 부끄럽지 않게 해다오, 제발”이라고 썼다.
한국인 최초로 안데르센상을 수상(2022)한 이수지 그림책 작가는 “우리는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이 무도한 시절을 조용히 견디고 있습니다. 매일 되뇝니다. 이 마당에 책이 뭐람, 작업이 뭐람, 예술이 뭐람! 온 마음으로 지켜온 민주주의, 상식적인 매일의 삶, 그리고 우리 모두를 위해 피소추인 윤석열의 대통령직 파면을 즉각 촉구합니다!”라고 했다.
414명 예술인이 낸 개별 성명은 분노와 절규, 그리고 희망의 메시지가 들어 있었다. 그들은 내란수괴의 파면을 기다리는 동안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며 하루빨리 그를 파면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하라고 하소연했다.
아울러 작가들은 헌재의 선고 지연에 따른 극우·폭력 세력의 준동을 우려하며 “극심한 사회 혼란에 따른 정신적, 경제적 피해 또한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 되었다”라고 사태의 후유증을 염려하는 목소리도 냈다.
이어 “민주주의의 회복과 내란 종식을 바라는 작가들이 뜻을 모아 각자의 목소리를 낸다. ‘윤석열 파면을 촉구하는 작가들’이라는 기치 아래 414명의 작가가 모였다”라고 밝혔다.
한편, 전국 문학인 2,487명도 이날 송경동 한국작가회의 사무총장의 윤석열 파면 촉구 단식농성 해제와 함께 “지금은 속도가 정의다! 헌재는 윤석열을 즉각 파면하라!”라는 제목의 긴급 시국선언을 내놓았다.
오늘로 12.3. 불법 비상계엄 이후 101일이 지났다. 윤석열이 헌법재판소에 나와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뻔뻔한 변명을 늘어놓았다. 하지만 지금, 이 나라에서는 전대미문(前代未聞)의 ‘멈춤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국민 각자가 생업을 위해 일하고 있지만, 그날 이후 모든 상경기가 얼어붙었다. 소비도 거래도 모두 멈추었다. 한해를 보내는 연말에 신나는 캐럴송을 기다리던 시민들은 연말 분위기조차 잊고 살얼음 위를 걷듯 조심하며 칩거 모드로 변환했다.
자영업자들은 더는 영업을 이어갈 수 없는 상황이다. 이미 폐업을 했거나 절차를 밟고 있다. 급등한 환율은 내릴 줄을 모른다. 한국을 찾던 외국인들은 발걸음을 돌렸다. 본보 또한 폐간을 생각할 정도로 경영이 어려워졌다.
모두 터무니없는 불법 비상계엄이 원인이다. 그 여파가 이처럼 엄중한데도 윤석열은 전혀 책임을 느끼지 않는 태도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계몽령’이라는 해괴한 변명을 이어가며 사과 한마디도 없다.
국무위원 누구도 책임지는 자(者)가 없다. 오로지 정권을 지켜서 이익을 추구하는 그들에게 국가와 국민은 어쩌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한 핑곗거리에 불과한 대상이었을 것이다. 내란수괴 윤석열의 안하무인 정치가 빚은 참담한 대한민국을 구하는 길은 오로지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이다.
망연자실(茫然自失), 앞에 언급했던 문인들의 말처럼 창작활동에 매진할 예술인들은 작업을 이어갈 수 없었다고 했다. 자판을 대하면 손이 떨려 오타가 이어졌고, 분노만 솟아나 글을 제대로 쓸 수 없었다고 분노했다.
이런 현상은 비단 예술인들에게만 일어난 게 아니다. 정상적인 사고를 가진 국민 모두가 어처구니없는 사태가 이어지는 동안 일을 할 수 없는 지경이다. 그나마 3월이 오면 헌재의 판결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자꾸만 늦춰지고 있으니 불안한 마음만 커지고 있다.
헌법재판소가 선고를 머뭇거리는 이유가 정치적인 입김이나 속셈이 작용한 데서 기인했다고 믿고 싶지는 않다. 헌법재판관은 오로지 헌법을 바로 세우고 지키는 일에 전념하는 전문가다.
내란수괴의 불법 비상계엄 선포는 어떤 변명으로도 정당화할 수 없다. 두 번, 세 번이라도 비상계엄령을 선포할 수 있다고 부하들을 채근했다. 국회에 들어가 국회의원들을 잡아내라던 명령을 없던 것으로 할 수는 없다.
권력을 강화하려고 나라에 엄청난 손실을 끼친 그의 죄를 손바닥으로 가릴 수 있는가? 온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국회 유리창을 깨고 들어가 의원들을 끌어내라고 한 명령을 “국회를 지키려고 했다”는 말로 덮을 수 있겠는가?
이런 철면피에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하는 그를 다시 대통령이라는 자리에 돌아가게 한다면 이 나라는 망한다. 국민은 헌법재판소에 무리한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윤석열 피청구인이 선포한 비상계엄령이 정상적인 명령이었는지 판단해 그를 대통령직에서 파면해달라는 것이다.
그가 헌법재판소에 드나들며 얼굴을 들고 뻔뻔하게 주장하던 말들이 아직도 국민의 귓가에 맴돌며 치를 떨게 하고 있다. 우리는 헌법재판소의 이성과 양심을 믿는다. 정치적인 압력과 이해관계에 휘둘려 양심을 파는 등의 헌정파괴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