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내 농업, 건설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 인력이 필요한 모든 부분에 인력난이 심각하다. 특히 힘들고 일거리가 많은 업종에서는 외국인력 아니면 돌아가지 않는다고 한다. 각 산업 현장에서 일하는 외국인 수가 갈수록 늘고 있다고 한다.
최근 전북자치도 내에서도 농업인력 확보를 위해 외국인을 적극적으로 구해 계약을 체결하는 등 해마다 외국인력 확보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시군 자치단체장들이 현지에 직접 나가 교류를 시도하며 좋은 근로자를 선발하는데 신경을 쓰고 있다.
이런 농업 인력만 아니라 건설 현장에서도 외국인 인력 없이는 현장을 유지할 수 없어서 해외인력 확보에 고심한다고 한다.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기능인력이 고령화하여 절반 이상이 50대 이상이라고 한다.
건설현장의 특성상 다양한 형태의 생산물을 만들고 공정에 따른 다양한 기술을 익힌 기능인력이 있어야 현장을 운영할 수 있다. 그런데 젊은이들이 건설 현장을 기피하므로 갈수록 기능인력이 줄어들어 목수의 경우는 60대도 찾아보기 힘들다고 한다.
건설근로자공제회가 집계한 최근 자료에 따르면 전체 근로자 84%가 40대 이상이다. 가장 많은 연령층이 50대로 35.4%, 60대가 24%를 차지했다. 힘도 있고 장시간 업무를 감당할 수 있는 30대는 11.3%, 20대는 6.6%에 불과했다.
이런 가운데 건설공사에서도 힘이 많이 드는 알루미늄 거푸집 설치 작업의 경우,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 근로자도 기피하는 일이어서 불법체류자 인력이 아니면 현장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고 한다.
뿐만아니라 산간 오지 등에서 진행되는 도로 현장 등에는 건축 현장보다 더 근무 환경이 열악하여 외국인 근로자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건설인력 고령화와 함께 갈수록 인력 부족에 따른 현장 운영이 어렵게 되면서 외국인 근로자의 비중이 높아갈 수밖에 없다.
인력 부족 문제는 농업이나 건설현장만 아니라 인력이 필요한 모든 부분에서 심각한 문제로 드러나고 있다.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문제는 쉽게 해결할 방법이 없다. 결국 외국인력이 필요한데 현재처럼 뜨내기로 필요한 곳을 일시적으로 메꾸는 건 좋은 해결 방법이 아니다.
정부도 고심하고 있는 문제이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고려인’ 이주 등을 서두르고 외국인 이민정책을 손질하여 심성 좋은 외국인을 받아들이는 방안을 서둘러야 할 때다. 이미 각 업종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 가운데 이주를 희망하는 경우 정착을 돕는 방안을 서두를 때다.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해 본 실무 경험자들의 의견과 전문인들로 구성한 관련법 제정위원회라도 만들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외국인들이 열심히 벌어서 본국에 송금하기보다 한국에서 가정을 영위하고 국민으로 정착하게 서두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