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 소프트웨어 산업 관련된 진흥기관, 유관기관, 기반시설 등이 밀집한 팔복동 전주첨단벤처단지 일대를 디지털 혁신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한 노력을 환영한다.
전주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지역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사업’에 응모할 계획이라고 한다. 과기부가 지역에서 배출된 디지털 인재가 지역 기업이 정착해 지역 경제와·사회에 기여하는 디지털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는 사업에 응모하는 계획이다.
과기부는 지난해 이어 올해에도 서울, 경기를 제외한 광역지방자치단체 2개 지역을 선정하여해당 지역에는 2026년까지 총 3년간 총 63억원의 국비를 지원한다. 수도권에 밀집된 디지털 산업을 지방에 분산하여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시도다.
이를 위하여 과기부는 디지털 생태계 육성 자원을 고밀도로 집약하기 위해 기존의 산업단지와 차별화된 인재채용, 네트워킹, R&D, 투자유치 등이 유리한 지역을 디지털 혁신거점의 입지 여건으로 삼았다.
전주시는 1998년에 전주 SW지원센터를 설립한 것을 비롯하여 2001년 전주 정보문화산업진흥원을 열어 지역SW거점 및 진흥기관으로 역할을 수행해왔다. 또, 2021년 12월에는 광역거점 SW산업진흥기관으로 지정된 전북테크노파크도 들어섰다.
전주시는 이처럼 지난 25년간 꾸준히 SW산업 진흥과 디지털 생태계 조성에 주력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SW진흥기관과 협력가능한 유관기관과 시설이 풍부한 팔복동 전주첨단벤처단지 일대를 디지털 혁신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중심으로 디지털 지원시설을 재배치 및 집적화하고 또한 농생명 등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산학연관 R&BD 협력 과제를 발굴·추진한다. 또 기업 간 협의체 및 산학연관 운영위원회 등 거너넌스 협의체를 구성해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성과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전주시에 디지털 혁신거점이 조성되면 익산, 완주, 정읍, 새만금 등 전북특별자치도 내 전략산업단지와 연계가 가능하다. 그에 따라 지역간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성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지역에 변변한 산업단지가 없어서 매년 양성된 젊은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현상을 일부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사업은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 사업을 주관하는 과기부 역시 지역 편중을 막기 위해서라도 전주시 거점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구나 AI시대가 열리면서 디지털 SW산업 여건 조성은 무엇보다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어떤 굴뚝산업보다 중요한 디지털 산업이다. 이번 혁신거점 조성을 위해 관련 기관은 물론 학계, 정치인 등 각 분야가 합력하여 반드시 좋은 결과를 얻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