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리즈번 사례 분석·정부 심의 대응 등 유치 전략 공유

전북특별자치도가 2036 하계올림픽 유치 성공을 위해 서울시와 협력 교류에 나섰다.
28일 전북도에 따르면 최병관 행정부지사는 전날(27일) 김태균 서울시 행정1부시장과 면담을 갖고 2036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실질적 협력 및 교류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면담은 전북이 올림픽 국내 후보도시로 선정된 이후 서울시의 2032년 올림픽 유치 도전 경험 및 노하우를 공유 받고 향후 국제 경쟁에 대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 부지사는 “중요한 것은 단순한 자료보다 유치 과정에서의 경험과 시행 착오에서 얻은 노하우”라며 서울시가 2032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겪은 실무적 경험에 대한 협조를 요청했다.
서울시는 IOC 미래유치위원회의 사전 컨설팅을 적극 활용하고 소통 채널에 신속 대응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 및 대한체육회를 통한 일관성 있는 IOC 접촉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IOC가 국내에 자체 모니터링 요원을 두고 여론조사 등을 진행한다는 사실도 공유했다.
양 기관은 국내 붐업 활동의 지속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다.
김태균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경기장 시설 사용 허가를 비롯해 향후 전북이 요청하는 사항에 대해 적극 협조하겠다”며 “전북과 지속적 소통 및 교류를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최병관 행정부지사는 “대한민국 전체가 함께 가야 할 도전인 만큼 서울시와의 협력은 매우 든든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문체부, 기재부 등 정부 심의 대응과 IOC와의 접촉 등에서도 서울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략적 접근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자치도는 이번 면담을 계기로 문체부 및 대한체육회와의 협업 체계를 강화하고 국내 연대 도시들과의 협업 체계를 점차 구체화하는 등 2036 하계올림픽 유치에 총력을 다 할 방침이다.
/유호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