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대학교가 20일 대학과 지역 동반성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포럼을 개최했다.
‘남원 미래를 여는 세 가지 해답’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는 황인섭 전북대 경영학과 교수가 ‘남원시 기관이전 유휴부지 활성화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황 교수는 “금동·쌍교동을 원도심 특화형 프로젝트로 재생해야 한다”며 “이와 함께남원 야간관광 특화도시 조성도 도전해 볼만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안득수 전북대 조경학과 교수는 ‘남원 허브밸리 활성화 방안’에 대한 발표자로 나섰다. 안 교수는 “다향(茶香)으로 피어나는 지리산 향기천지(香氣天地)라는 비전으로 지리산 사계의 자생식물 환경공원이 필요하다”는 전략을 제시했다.
이를 위한 관광, 휴양, 치유시장에 대응하는 시장 세분화 전략도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김윤영 전북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통합돌봄 지원을 위한 체계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국가 돌봄 제도를 기반으로 한 지역 맞춤형 설계가 필요 하다”며 “고령화가 심각한 면 지역은 방문형 돌봄과 건강관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설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북대는 이번 포럼을 통해 지역별 특성과 강점, 단위과제 간 연계성 및 시너지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지역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양오봉 총장은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위기 속에서 대학과 지역 상생은 중요한 기회이자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지역 현안에 대한 대학의 연구 성과 공유는 ‘전북형 동반성장’의 새로운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강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