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상공업계, 전북지역 주유업계 경영 활성화 지원 건의
전북 상공업계, 전북지역 주유업계 경영 활성화 지원 건의
  • 이용원
  • 승인 2025.02.15 0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 상공업계가 전북지역 주유업계 경영 활성화 지원을 건의하고 나섰다.

주유업계의 영업이익 감소와 지속적인 운영비 증가로 인한 경영 압박이 심해져 휴업과 폐업이 심화되고 있어서다.

전북상공회의소협의회(회장 김정태)는 지난 14일 전북특별자치도 내에서 폐업 위기에 놓인 주유업계의 경영 활성화를 위한 건의서를 전북특별자치도 도지사,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장, 도내 14개 시·군 단체장과 의회의장,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에게 전달했다고 15일 밝혔다.

전북지역 주유소 수는 2020년 902개에서 2024년 826개로 76개(-8.4%) 감소했다. 이는 전국 평균 감소율(-6.2%)을 웃도는 수준으로 17개 광역단체 중 5번째로 높은 감소율이며, 연평균 15개 이상의 주유소가 폐업하고 있다. 

전북지역 상공인들은 주유소의 80%이상이 영세 임대사업자로 매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 월 임대료 부담, 금융 비용 증가 등 지속적인 운영비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급감하며 수익성 악화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필수 소비재인 유류를 공급하고 개방형 화장실 운영을 통해 공공서비스 역할도 수행하지만 대부분의 주유소는 영세 임대사업자임에도 높은 유류세(판매금액의 60%)가 매출액에 합산돼 30억원을 초과하는 탓에 도로점용료 감면과 지역화폐(고향사랑상품권) 사용 등 소상공인이 받을 수 있는 각종 혜택에서 제외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국세인 유류세(판매액의 60%)에 대한 부가세와 카드수수료까지 부담해야 하는 상황으로 경영 압박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상공인들은 절박함을 토로했다.

결국 이러한 경영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폐업을 결정하더라도 건축물 철거, 토양 오염 검사 및 정화 작업 등에 평균 1억 5,000만원 이상의 막대한 비용이 소요돼 폐업마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 전북상협 관계자는 "이와같은 상황을 감안해 현재 영업중인 주유소에는 화장실용품(티슈, 종량제봉투) 및 수도요금 감면을 지원하고, 소상공인에게 적용되는 도로점용료 감면과 현재 연매출액 30억원 미만 주유소에만 적용되는 지역화폐(고향사랑상품권) 사용 범위를 50억원 미만 주유소로 확대해 줄 것"을 건의했다. 

그는 이어 "아울러 휴·폐업중이거나 검토중인 주유소에는 폐업(철거)비용을 지원해 도시재생 활성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용원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