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 여파로 2052년부터 서울을 포함해 전국 17개 시·도에서 인구가 자연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2052년엔 울산과 부산 등 8개 시·도의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현 수준 대비 4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전북도 인구 자연감소가 2052년까지 지속돼 2022년보다 전북지역 인구가 18% 이상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 2022∼2052년‘을 발표했다.
이번 장래인구추계는 지난 2022년 인구총조사를 기초로 최근까지의 시도별 인구변동요인(출생·사망·이동) 추이를 반영해 미래 인구변동요인을 가정하고, 향후 30년간의 장래인구를 전망한 결과다.
분석 결과 전북의 인구는 2022년 17만 8000명에서 2052년 14만 5000명으로 18.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국에서 6번째로 많은 인구가 줄어든 수치다. 이러한 인구감소 영향에 따라 생산연령인구도 감소한다.
2052년 기준 전북의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67만명으로 2022년 119만명 대비 43% 이상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또 전북의 유소년(0~14세)인구와 학령인구(6~21세)도 절반가량 줄어든다.
2052년 기준 전북의 유소년 인구는 10만명, 학력인구는 12만명으로 2022년 대비 각각 49.5%. 54.7%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데 2052년 전북 고령인구 비중은 46.9%로 전국에서 5번째로 고령인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이 저출생 고령화의 영향으로 전북의 중위연령은 2022년 48.3세에서 2052년 62.8세로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처럼 저출생 고령화로 인구가 줄면서 인구절벽이라는 말이 화자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일과 가정이 양립하는 저출생 대책마련에 분주하다.
정부는 이르면 다음달 초에 '저출생 종합 마스터플랜'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한국의 극심한 저출생 현상과 급속한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전체적인 국가 성장잠재력이 떨어지면서 더 이상 관련대책 마련을 늦출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저출생 극복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현가능성이 있는 대책이 마련되었으면 한다. 이와 함께 일부 지자체에서는 정부에 국가 차원의 정책 뒷받침을 위한 '저출생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고 있다.
또 저출생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인구정책 연구기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기존의 틀을 뛰어넘는 대책들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저출생 대책 특별법'의 신속한 제정에 적극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저출생은 국가 존립이 걸린 사안이다. 이에 특별법 제정과 총괄기구 설치도 필요하다. 인구절벽, 우리의 관심과 노력이 없이는 이겨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