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도 갱년기가 있다
여성에게만 갱년기가 있는 게 아니다. 남성에게도 갱년기가 있다. 남성의 갱년기는 의욕상실, 무기력증, 자신감 상실, 성기능 장애 등 여러 가지 변화로 나타난다.
모든 일에 의욕이 떨어지고 과감하게 결단을 내리지 못하며 막연하게 불안감과 두려움에 시달리는 40대 후반의 남성이라면 한번쯤 남성 갱년기가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남성 갱년기의 주요 증상은 무엇이며 어떻게 예방하고 극복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40대 후반의 중소기업 부장인 김복동씨. 그는1년 전부터 별로 과로하지 않아도 늘 피곤한 것 같고 모든 일에 의욕이 떨어졌다. 그러더니 어느 날부터인가 심한 무기력증에 시달리기 시작했다. 갑자기 왜 이러나 싶어 간 기능검사를 비롯한 여러 가지 정밀 검사를 받았으나 모두 별 이상이 없었다. 하지만 무력감은 여전했고 이런 상태로는 더 이상 일상적인 업무조차 제대로 하기 어려웠다. 그 때 친구로부터 혹시 남성 갱년기가 아닌가 의심해 보라는 말을 듣게 되었다.
50세 전후의 여성은 폐경이 되면서 안면홍조, 발한, 성욕감퇴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여성갱년기를 맞게 된다. 남성의 경우에는 여성과 같은 폐경은 없지만 40~50세 이후부터 남성호르몬 분비가 서서히 감소하여 여러 갱년기 증상들이 나타난다.
이를 남성 갱년기로 부르기 시작한 것은 지난 1993년으로 남성 갱년기 역시 여성과 마찬가지로 안면홍조, 신경질, 우울감, 기질적 뇌기능 장애, 성욕과 발기력 감소 등의 여러 증상을 동반하는 것이 밝혀졌다.
간단히 말하자면 남성갱년기란 ‘노화현상으로 인한 남성호르몬 감소로 중년의 남성들에게 신체적 변화와 더불어 심리상태 및 대인관계등 사회생활 전반에 걸친 변화가 나타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남성호르몬의 저하는 여성처럼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그 시기와 증상이 모든 남성에게 동일하게 나타나지도 않는다.
흔히 남성호르몬은 30세 전후를 정점으로 하여 해마다 약 1%씩 감소한다고 한다. 하지만 갱년기 이후 남성의 혈중 남성호르몬 수치는 개개인에 따라 차이가 많고, 어떤 노령의 남성들은 젊은이 같은 수치를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현재 얼마나 많은 남성에게서 남성갱년기가 나타나는 것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남성호르몬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는 과도한 음주, 흡연스트레스, 영양상태, 비만, 계절적 요인 등이 있다. 또 고혈압 같은 심혈관계 질환, 당뇨, 고지혈증, 간질환 등의 만성 질환 역시 남성호르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 갱년기의 신체적 증상으로는 신체활동 저하와 체중 증가(특히 복부비만), 식욕저하, 불면 등이 있다. 또한 체모의 소실이나 감소, 골다공증, 근력저하 등의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성적으로는 성적 욕구의 감소, 성행위에 대한 불안감 및 두려움, 성행위 도중의 발기 문제, 성기능에 대한 자신감 결여 등을 호소한다.
정신적으로는 신경이 예민해지고, 과감한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막연한 불안감 및 두려움에 시달리기도 한다. 자꾸 우울한 기분에 빠지고 자신감이나 즐거움이 결여되어 삶의 목적과 방향을 잃고, 소외감에 빠지거나 집중력 저하, 건망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환경적인 요인으로 볼 때, 과중한 업무와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직장인들이 남성 갱년기에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남성 갱년기를 예방하려면 과음과 흡연을 가능한 삼가고 특히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즐겁게 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신선한 야채와 다양한 과일, 콩으로 만든 식품을 고루 섭취하고, 비만 예방을 위해 체중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러한 올바른 식습관은 갱년기 남성의 건강을 지켜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성인병을 예방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식이 요법과 더불어 꾸준히 운동을 병행하면 보다 효과를 볼 수 있다. 꾸준한 운동은 40대 이후 남성들에게 갱년기 예방과 치료는 물론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
특히 등산은 하체의 근력을 향상시키고 혈액순환 개선과 폐활량 증가에도 큰 효과가 있다. 수영, 자전거 타기, 달리기, 걷기 등 유산소 운동도 혈압, 혈당, 체지방량을 감소시켜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해준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의원장 김 명 웅